2024년 5월 20일부터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제도에 따라 병원 신분증이 의무화되어 이제는 병원에 갈 때 신분증이 있어야 합니다. 오늘은 병원 신분증 모바일 대체 수단으로 병원 모바일신분증 발급,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그리고 어플 및 QR사용 방법을 알아봅니다.
병원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
본인확인이 가능한 병원 신분증 대체수단 종류
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, 장애인등록증, 외국인등록증, 장애인 등록증, 모바일 신분증, 건강보험증, 모바일 건강보험증 등
병원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A to Z
병원 모바일신분증 어플은 “모바일 건강보험증” 앱을 설치하여야 하는데요, 주의할 점은 “The건강보험”과 많이 혼동한다는 것입니다. 꼭 “모바일 건강보험증” 앱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.
아래 병원 모바일신분증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과 앱스토어와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페이지 링크를 함께 남겨드립니다.
-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다운로드
- 설치 후 개인 또는 요양기관 선택
- 언어 선택(한국어 기본 선택)
- 개인정보 및 QR 안내 등 모두 확인
- 전화,알림 권한 확인
- 약관 동의
- 본인확인하기(최초1회 본인인증)
- 휴대폰 문자 또는 PASS로 인증하기
- 생체인증 또는 비밀번호 등 설정완료
-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완료
모바일건강보험증 발급완료 모습
실제 앱을 다운로드 받아 직접 설치해보면 위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. 보통 본인인증 외에는 모두 예 또는 다음을 누르면 되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는 않습니다.
실제 앱을 받아 본인인증 및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받았다면 이제 사용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.
병원 신분증 없을 때 모바일 건강보험증 사용 방법
-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실행합니다.
- 메인 화면에 등록되어 있는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클릭합니다.
- 그러면 성명,생년월일,증번호,조회일자 등의 개인정보가 나타납니다.
- 또는 앱 하단 QR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QR 또는 바코드 화면이 나오면 병원 접수처에 보여줍니다.
모바일건강보험증앱은 건강보험증 정보를 보여주거나, 모바일 건강보험증 QR 코드를 접수처에 보여주어 병원진료 신분증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.
병원 본인확인 예외 대상
- 19세 미만 사람에게 요양급여를 실시하는 경우
- 해당 요양기관에서 본인 여부 및 그 자격을 확인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진료
- 의사 등 처방전에 따라 약국 약제를 지급하는 경우
- 진료 의뢰 및 회송 받는 경우
- 「응급의료에 관한 법률」 제2조제1호에 따른 응급환자
- 본인 여부 및 그 자격을 확인하기 곤란한 사유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
19세 미만 미성년자는 병원 신분증 본인확인 예외 대상입니다.
✅ 종합소득세 신고 하셨나요? 종소세 A to Z
📌 2024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(모두채움), 신고기간, 신고대상
📌 종합소득세 지방소득세 신고방법 위택스
📌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? 가산세와 기한 후 신고기간
📌 2024 종소세 세율 구간 및 종합소득세 계산기 3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