착한운전 마일리지 신청 조회 방법, 벌점 및 과태료 혜택

"이 글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을 수 있어요."

착한운전 마일리지는 일정기간동안 무위반, 무사고를 실천하면 마일리지를 제공하며, 적립된 마일리지를 통해 벌점, 정지일수 등을 감경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. 착한운전자 마일리지 신청 방법과 마일리지 조회 방법, 사용방법 등을 모두 살펴보겠습니다.

착한운전 마일리지 신청

💡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
📌 자동차세 납부 조회 연납신청 할인
📌 자동차세 환급 신청 (폐차,매매,중고차 등)
📌 자동차세 미납조회 및 가산금 과태료 조회
📌 자동차세 완납증명서 인터넷 발급방법

착한운전 마일리지란?

무위반∙무사고 준수 서약 후에 1년 동안 실천하면 10점씩 마일리지를 부과합니다.

그리고 누적된 마일리지만큼 면허벌점, 정지일수를 감경해줍니다.

착한운전 마일리지 실천내용

1년 동안 실천 내용을 지키면 착한운전 마일리지를 10점 적립합니다.

  • 무위반 : 운전면허 취소, 정지 처분, 범칙금 통고처분, 과태료 처분을 받지 않을 것
  • 무사고 : 사람을 죽거나 다치게 하는 교통사고를 유발하지 않을 것

착한운전마일리지 혜택

  • 1년 동안 실천 내용 실행 시 착한운전 마일리지 최대 10점 적립
  • 실천 완수 후 서약서 재접수 가능
  • 운전면허 정지 처분 시 누적된 마일리지만큼 벌점과 정지 일수를 감경
  • 착한운전 마일리지 10점 당 10일

착한운전 마일리지 신청하기

위 버튼을 클릭하면 정부24 착한운전 마일리지 신청페이지로 이동합니다. 이동 후에는 상세 내용을 간략히 읽어보신 뒤 바로 신청하기를 눌러 착한운전자마일리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1. 위 버튼을 통해 정부24 신청 페이지로 이동
  2. 신청하기 버튼 클릭
  3. 로그인
  4. 자동으로 나의 인적사항이 조회
  5. 민원신청하기를 눌러 본인인증
  6. 신청 완료

착한운전 마일리지 조회하기

위 버튼을 누르면 착한운전 마일리지를 조회할 수 있는 공식 웹사이트인 경찰청 교통민원24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
이동한 뒤에는 로그인을 진행한 뒤 메인 메뉴에 [착한운전마일리지]를 클릭하여 마일리지를 조회해줍니다.

💡 현재 인기 많은 차량용 아이템
📌 눈길운전!! 인기 스노우체인 리스트
📌 초미세먼지 에어컨필터 리스트
📌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리스트

스마트폰 앱에서 조회하기

착한운전 마일리지 조회 및 신청은 웹페이지 뿐만 아니라 전용 앱인 교통민원24 앱에서도 가능합니다. 아래 다운로드 링크를 남겨드리니 바로 설치하여 이용하시기 바랍니다.

교통민원24 앱 다운로드하기

위 버튼 중 본인의 스마트폰 기종에 맞는 버튼을 클릭해 원클릭으로 교통민원24 앱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.

앱 설치 후에는 웹페이지에서와 동일하게 로그인 후 메인화면에 착한운전 마일리지 버튼을 클릭하면 마일리지 신청 및 조회가 가능합니다.

그 외 착한운전 마일리지 FAQ

착한운전 마일리지 사용 불가능한 경우

음주운전, 난폭운전 등의 위반행위를 한 경우 마일리지 사용이 불가합니다.

착한운전 마일리지는 어떤 혜택이 있나요?

운전자의 면허 벌점 40점 이상이 되어 면허 정지 처분 대상자가 될 경우, 벌점 누산점수에서 10점을 공제합니다.

1년간 무 위반, 무사고를 실천하면 면허 벌점이 39점이 될 때까지는 정지 처분을 받지 않고, 만약 40점 이상이 되면 10일을 감경하여 정지 처분을 받게 됩니다.

실천하지 못하면 다시 서약할 수 없나요?

서약 실천 기간 중에 교통사고를 유발하거나 교통법규를 위반한 경우에는 그 다음날부터 다시 서약을 할 수 있습니다.

마일리지를 받고 다시 신청 가능한가요?

서약 횟수에 제한은 없으며, 해마다 무 위반, 무사고 서약을 하고 지키면 마일리지가 10점씩 계속 누적됩니다.

마일리지는 얼마동안 유지되나요?

면허 정지 처분을 받게 되어 면허 벌점을 공제하지 않으면 계속 유지됩니다.

💡 모르고 넘어가면 가산금 붙어요!!
📌 하이패스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요금 조회 방법
📌 주정차,신호,속도위반 과태료 조회 3가지 방법
📌 자동차 과태료 조회 어플 (아이폰,갤럭시)
📌 전국 시청·군청·구청 지자체 홈페이지 바로가기 목록

Leave a Comment